[DSLR 렌즈 구매 요령]
DSLR 을 구매하면서 2번째로 고민되는 부분이 바로 렌즈 선택 입니다.
그래서 초보자 기준으로 렌즈 선택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올려봅니다.
렌즈 추천 이전에 렌즈를 구매하기전에 DSLR 렌즈 용어부터 알아보면 좋을듯 합니다.
1. 렌즈 용어
[렌즈 공통]
50 mm : 렌즈의 고정 화각
24 - 70 mm : 렌즈의 가변 화각
F 2.8 : 고정 조리개 값
F 4 - 5.6 : 가변 조리개 값
[캐논 렌즈]
EF : 풀프레임 / 크롭바디 겸용
EF-s : 크롭바디 전용
IS : 손떨림 방지
USM : 초음파 모터
[니콘 렌즈]
DG : 풀프레임 / 크롭바디 겸용
DX : 크롭바디 전용
IF : 이너 포커스
VR : 손떨림 방지
AF-S : 초음파 모터
[시그마 렌즈]
DG : 풀프레임 / 크롭바디 겸용
DC : 크롭바디 전용
OS : 손떨림 방지
HSM : 초음파 모터
[탑론 렌즈]
Di : 풀프레임 / 크롭바디 겸용
Di Ⅱ : 크롭바디 전용
VC : 손떨림 방지
USD : 초음파 모터
크롭바디와 풀프레임 바디에서의 렌즈의 화각은 변동이 있습니다.
이전글을 참고하시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2. 조리개 이해하기
1.4 / 1.8 / 2.4 ~~~ 이런식으로 조리개 값이 다양합니다.
조리개 값이 낮을 수록 밝은 렌즈라고 말합니다.
빛을 받을 수 있는 구멍이 크다보니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이 흔들리지 않고 밝게 잘 나올 수 있습니다.
조리개 값이 낮을 수록 흔히 말하는 아웃포커싱이 잘 됩니다.
피사체의 배경이 흐릿해진다는 것이죠.
[조리개 값 1.8 / 초점 거리 50mm]
위의 사진처럼 조리개 값이 1.8 입니다.
아주 낮은 수치입니다.
그래서 피사체는 부각되고 배경은 많이 흐릿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인물사진을 많이 찍을때 중요하죠!
풍경을 찍을때는 조리개 값을 높게 5~10 그 이상까지 해주면
배경까지 또렷하게 잘 나옵니다.
3. 화각 이해하기
35mm 필름 기준으로 화각에 다라서 렌즈를 분류합니다.
광각, 표준, 망원
크게 3가지로 분류합니다.
화각 (FOV) | 렌즈 분류 | 렌즈 초점거리 (35mm) |
---|---|---|
(114°–94°) | 초광각 Super Wide Angle | 14 mm–20 mm |
(84°–63°) | 광각 Wide Angle | 24 mm–35 mm |
(47°) | 표준 Normal Lens | 50 mm |
(28°–8°) | 망원 Telephoto | 85 mm–300 mm |
(6°–3°) | 초망원 Super Telephoto | 400 mm–1000 mm |
4. 렌즈 선택
렌즈는 DSLR 바디 구매와는 선택의 기준이 다릅니다.
일상생활용? 풍경용? 인물용? 등등
어떤 사진을 찍고자 하는지를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초보자 기준으로 보면 렌즈는 크게 4종류로 분류하면 될듯 합니다.
사실 어안렌즈는 빼고 3가지로 봐도 충분합니다.
어안렌즈(Fish eye), 단렌즈, 줌렌즈, 망원렌즈
초보자 기준으로 이전 글을 보셔도 아시겠지만, 개인적으론 바디보다는 렌즈가 좋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눈이 좋아야 잘보는거 아닐까요?
자~~~
DSLR 렌즈별로 사진이 어떤 식으로 찍히는지 사진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 조리개 값 11 , 초점 거리 5 mm
▲ 조리개 값 10 , 초점 거리 10 mm
어안렌즈는 볼록한 렌즈특성으로 넓은화각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조리개 값이 높아서 배경이 전체적으로 잘나옵니다.
▲ 조리개 값 8 , 초점 거리 10 mm
▲ 조리개 값 2.8 , 초점 거리 24 mm
2.8 의 조리개 값은 가까운 거리의 피사체를 찍을때 얼굴은 잘나오고 배경은 흐릿하게 나옵니다.
▲ 조리개 값 2.8 , 초점 거리 24 mm
상반신을 기준으로 피사체의 촛점을 잡으면 아무리 2.8 의 조리개 값이라고 하더라도 배경의 흐려짐이 강하지 못합니다.
▲ 조리개 값 22 , 초점 거리 30 mm
조리개값이 높다보니 저 멀리에 산까지도
배경이 모두 흐려지지않고 정확하게 나옵니다.
▲ 조리개 값 7.1 , 초점 거리 43 mm
▲ 조리개 값 2.8 , 초점 거리 45 mm
▲ 조리개 값 1.8 , 초점 거리 50 mm
▲ 조리개 값 5 , 초점 거리 84 mm
초점거리가 커지면 망원렌즈계열로 넘어갑니다.
70 - 200mm 이런 렌즈들이죠~!
망원렌즈의 경우는 피사체를 멀리서 찍으며 멀리있는 배경을 흐릿하게 해주는 효과가 24-70mm 표준 줌렌즈보다 좋습니다.
▲ 조리개 값 5.6 , 초점 거리 105 mm
▲ 조리개 값 4 , 초점 거리 125 mm
피사체의 상반신의 모습을 찍으며 멀리 있는 배경도 흐릿하게 찍을 수 있습니다.
망원렌즈로 위 사진같은 인물사진을 찍고자 한다면 야외의 빛이 강한곳에서의 사진은
조리개값이 4 정도만 되더라도 충분히 아웃포커스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2.8 등의 고가의 밝은 렌즈가 없더라도 가능합니다.
▲ 조리개 값 2.8 , 초점 거리 140 mm
밝은 조리개 값, 망원 결과물은 전신사진을 찍더라도 뒤 배경을 많이 흐릿하게 해줄수 있습니다.
피사체가 돋보이는 사진을 찍을 수 이죠!
24-70 mm F2.8 같은 표준 줌렌즈로는 저런 사진은 찍을 수 없습니다.
▲ 조리개 값 2.8 , 초점 거리 165 mm
▲ 조리개 값 4 , 초점 거리 200 mm
▲ 조리개 값 2.8 , 초점 거리 200 mm
▲ 조리개 값 4 , 초점 거리 200 mm
또한 망원렌즈는 초상권문제가 없다라면 멀리서 자연스러운 표정을 몰카(캔디드샷 candid shot)로도 찍을 수 있습니다.
조리개 값과 렌즈의 화각에 따라 사진이 어떻게 표현되고 피사체를 얼마나 더 부곽시킬 수 있는지 이제 이해가 되시나요?
인물사진 위주라면 50mm 단렌즈로도 충분하며 일상 생활 및 인물, 풍경 등등 다양한 사진을 원한다면 표준 줌렌즈가 적당할 듯하며 야외나 멀리있는 피사체를 찍고자 한다면 망원렌즈가 적당합니다.
그럼 본인이 찍고자 하는 사진이 어떤 사진인지를 생각해보시고 조리개 값과 화각을 결정하고 렌즈를 선택하면 될듯 합니다.
확실히 고가의 렌즈가 화질이 좋긴 하지만 저가의 렌즈로 시작해도 충분히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엄청 큰 사이즈로 인화를 해야하는 전문가가 아닌이상은 고가의 렌즈가 좋긴 좋지만, 시작부터 고가의 렌즈만을 찾지 않으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잘 모르겠다 할때는 50 mm 단렌즈로 시작하세요! 아니면 표준 줌렌즈도 괜찮습니다.
참고로 저는 제일 처음 DSLR 에 입문하였을때 렌즈를 좋은것을 쓰는게 더 좋다고 생각하기때문에 정한 예산으로 550D 바디와 24-70L (구계륵) 렌즈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아직도 잘 사용하고 있는 주 렌즈 이기도 합니다.
역시 DLSR 은 몸보다 눈이 좋아아죠~~!!
좋은 렌즈는 바디를 바꿔도 계속 사용 가능합니다. ^^
[이전글]
DSLR 카메라 구매 Tip (카메라 구매요령)
'Photo > 사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논 렌즈 시리얼 구분 방법 (0) | 2019.02.11 |
---|---|
크롭 바디와 풀 프레임 바디 화각비교 하기 [캐논 550D vs 캐논 6D + 24-70 F2.8 L (구계륵)] (0) | 2019.02.08 |
캐논 EF 24-70mm F2.8L USM 구계륵으로 찍은 사진 (크롭바디와 24-70조합) (0) | 2019.02.01 |
크롭바디에 EF 렌즈를 사용하면 바뀌는 화각을 알아보자! (0) | 2019.01.31 |
DSLR 카메라 구매 Tip - 초보자 기준 (0) | 2019.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