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쇼핑과 리뷰/IT 제품

4세대 AMD 라이젠 5 5600 (버미어) 가성비 CPU 강력 추천

by 황뱅크 2022. 8. 22.
728x90

안녕하세요!! 황뱅크 입니다.

전라도 장성 한옥으로 귀촌을 하고 컴퓨터에 더 관심이 가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컴퓨터를 더 자주 하게 돼서 그런가 봅니다. ㅎㅎ

요즘 즐겨 하는 FPS 게임 PUBG : 배틀그라운드를 위해서 컴퓨터를 많이 업그레이드하게 되었습니다.

키보드도 바꾸고 그래픽카드도 바꾸고 모니터도 바꾸고, 이제 CPU 차례입니다.

언젠가부터 인텔이 아닌 AMD 라이젠 CPU를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생각해 보면 가성비가 좋아서 그랬던 거 같습니다.

마눌님이 사용하는 컴퓨터는 3세대 라이젠 5 3500 마티스이고, 제가 사용하는 컴은 2세대 라이젠 5 2600 피나클릿지 입니다.

이번에는 가성비 좋다는 4세대 라이젠 5 5600 버미어를 리뷰하게 되었네요. ^^

 

AMD Ryzen TM 5 4세대 5600 (버미어)

2022년 가성비 CPU로 너무나 유명한 AM4 소켓 라인업인 AMD Ryzen 5 4세대 5600 버미어입니다.

AMD 라이젠 5 4세대 중에서도 5600은 가성비가 정말 좋다고 소문이 나있는데 이렇게 테스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가성비로 소문이 나서인지 판매량 역시 5600과 5600x가 압도적이죠. ^^

5600과 5600x의 차이는 고작 0.2 Ghz 클럭 차이입니다.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 수준이죠!

제가 사용하던 라이젠 5 2600은 12nm 공정 헥사코어(6) 12 스레드인데 라이젠 5 5600은 COMS TSMC 초정밀 7nm 공정을 통해 제작되었고 헥사코어(6) 12 쓰레드 입니다. 덕분에 높은 싱글과 멀티 성능을 자랑하죠! ^^

최대 4.4Ghz 부스트 클럭부터 35MB 캐시메모리까지 제가 사용하던 2600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입니다.

일단 전에 2600에 없던 가장 큰 부분은 fTPM 지원으로 윈도우 11 OS 설치에 높은 호환성을 제공하는 부분입니다.

자 이제 설치를 해볼까요? ^^

 

 

기존에 사용하던 2600은 제거하고 5600을 장착합니다. ^^

AMD CPU는 AM4 소켓을 사용하기 때문에 2600을 사용하던 메인보드 그대로 5600을 장착할 수 있다는 점도 엄청난 장점 중에 하나입니다. ^^

 

 

마음이 급해 서멀구리스 바르는 사진을 못 찍었네요 ㅎㅎ;

서멀 그리스는 녹투아 NT-H1을 사용하였습니다.

 

 

사실 기본으로 제공하는 초코파이 쿨러를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에, 2~3만원이면 구매가 가능한 가성비로 유명한 타워형 공랭 쿨러를 장착하였습니다.

※ 잘만테크 CNPS9X OPTIMA WHITE LED 쿨러 사용

 

 

장착을 완료하고 부팅 ^^

시작부터 영어로 뭐라 뭐라 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ㅋㅋ

 

 

fTPM 지원 안내 문구

We detected a new processor, which will change the data/structure of the storage space for firmware TPM.

If you did not apply TPM function, please press Y to continue, otherwise please follow instruction below:

Press Y to reset fTPM, if you have BitLocker or encryption enabled, the system will not boot without a recovery key.

Press N to keep previous fTPM record and continue system boot, fTPM will NOT enable in new prosessor. you can swap back to the old processor to recover TPM related keys and data.

펌웨어 TPM을 위한 스토리지 공간의 데이터/상태 구조를 변경하는 새로운 프로세서를 발견했습니다.

TPM 기능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Y를 눌러 계속하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아래 지침을 따르십시오.

fTPM을 재설정하려면 Y를 누르십시오. BitLocker 도는 암호화를 사용하도록 설정한 경우 복구 키가 없으면 시스템이 부팅되지 않습니다.

이전 fTPM 기록을 유지하고 시스템 부팅을 계속하려면 N을 누르십시오. 새 프로세서에서는 fTPM이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이전 프로세서로 다시 스왑하여 TPM 관련 키 및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라는 안내 문구가 부팅을 시작하면 화면에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깜짝 놀랐지만.... 바로 번역을 하고 Y를 눌러 진행을 했네요. ^^

 

 

 

시스템 기본 사양 소개

 

 

CPU
AMD 라이젠 5 4세대 5600 (버미어)
메인보드
ASUS PRIME B450M-A 아이보라
RAM
삼성전자 DDR4 PC4-21300 (정품) 8G x 4 = 32Gb
VGA
GIGABYTE 지포스 RTX 3060 Ti Gaming OC PRO V3 D6 8GB
SSD
디오테라 VIVA 300S PRO LITE (512GB)
파워
잘만 MegaMax 700W 80PLUS STANDARD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Master T500 강화유리 (화이트 LED)
모니터 1
[메인 모니터] - 삼성전자 오디세이 G7 C27G75T, va패널, 240hz, qhd
모니터 2
27인치, QHD, 레안택 EdgeArt Q2775K HDR
모니터 3
27인치, QHD, [엠텍코리아] 뷰시스 ViewSys Queen-2747
모니터 4
27인치, QHD, [엠텍코리아] 뷰시스 ViewSys Queen-2747

 

저는 주식을 하기 때문에 QHD 모니터가 4대라는 점이 일반 테스트와 좀 다른 부분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
B450 메인보드로 PCle 3.0 그래픽카드 환경이라는 점도 참고해 주세요. B550 보드는 PCle 4.0입니다.
5600 설치 전 메인보드 바이오스는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해주었습니다.

 

 

2600 vs 5600 비교

먼저 제가 사용하던 라이젠 5 2600과 5600을 간단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CPU-Z = 라이젠 5 2600 vs 라이젠 5 5600

 

라이젠 5 2600 vs 라이젠 5 5600 사용자 벤치마크 점수

 

제가 사용하던 라이젠 5 2600과 라이젠 5 5600의 사용자 벤치마크 점수입니다.

라이젠 5 2600은 12nm 공정인데 라이젠 5 5600은 COMS TSMC 초정밀 7nm 공정을 통해 제작되었죠!!

유효속도 23%, 평균 점수 33% 정도의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나옵니다.

사실 CPU를 교체하는 이유 중에 사람들이 유튜브를 많이 하게 되면서 동영상 편집 인코딩 등등의 이유도 많이 있겠지만, 게임 때문에 CPU를 교체하는 사람들도 아주 많습니다.

 

 

 

CPU와 GPU의 병목현상

 

 

https://pc-builds.com/bottleneck-calculator/

 

Bottleneck Calculator | PC Builds

We bring you a unique calculator for bottleneck and chokepoint problems in your computer. We will help you to choose most appropriate processor and graphic card for your PC. Our calculator offers you best solutions for reducing or removing bottleneck probl

pc-builds.com

 

 

★AMD Ryzen 5 2600 + NVIDIA GeForce RTX 3060 Ti★

[그래픽 카드의 부하가 높은 태스크 실행]

중에는 프로세서 AMD Ryzen 5 2600이 100.0%,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RTX 3060 Ti가 100.0% 사용됩니다.

[프로세서의 부하가 높은 태스크 실행]

중에는 프로세서 AMD Ryzen 5 2600이 100.0%,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RTX 3060 Ti가 86.7% 사용됩니다.

이 구성에서는 13.3%의 CPU 병목현상이 발생합니다.

★AMD Ryzen 5 5600 + NVIDIA GeForce RTX 3060 Ti★

AMD Ryzen 5 5600과 NVIDIA GeForce RTX 3060 Ti 는, 프로세서의 부하가 높은 태스크에 대응하는 2560 x 1440 픽셀의 화면 해상도로 매우 적합합니다. (QHD 병목현상 0%, FHD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그래픽 카드의 부하가 높은 태스크 실행]

프로세서 AMD Ryzen 5 5600가 94.7%,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RTX 3060Ti가 100.0% 사용됩니다.

이 구성에서는 그래픽 카드의 병목현상이 5.3%입니다. (CPU에 살짝 여유가 생겼습니다.)

[프로세서의 부하가 높은 태스크 실행]

중에는 프로세서 AMD Ryzen 5 5600이 100.0%,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RTX 3060 Ti가 86.7% 사용됩니다.

[솔루션]

이 문제는 CPU가 100% 일을 할 때 그래픽카드는 13.3% 여유가 생기고, 그래픽 카드가 100% 일을 할 때 CPU가 5.3% 여유가 발생합니다.

결국 제 상황에서 그래픽 카드를 다운그레이드 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이 경우, 현재의 그래픽 카드를 컴퓨터에 남겨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사실 배틀그라운드나 일반적인 게임들의 경우 CPU 사용률이 높지 않아서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RTX 3060 Ti는 100%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옵니다. CPU는 게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벤치마크 결과를 보고 라이젠 5 2600을 계속 사용하려 했었지만, 주변의 지인들은 CPU 교체 시 실제 체감은 분명 나타난다고 말했습니다.

사실 실제로 프레임이 너무 안 나와서 이상하다는 생각을 했었기 때문에 저도 결과가 궁금했습니다. ^^

pc-builds의 병목 계산기의 결과로는 특별히 교체하나 마나의 느낌인데요. 교체 시 실제 체감이 어느 정도일까요?

제가 즐겨 하고 많은 사람들이 즐겨 하는 FPS 배틀그라운드 게임의 프레임 차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배틀그라운드 게임 테스트

라이젠 5

2600 vs 5600

 

 

라이젠 5 2600 - FHD & QHD

 

FHD, QHD 라이젠 5 2600 테스트 결과

 

2600 CPU에서는 국민 옵션으로 게임을 진행하였습니다.

[라이젠 5 2600 - FHD]

평균 114 프레임, 최고 199 프레임

cpu - 최대 89% 사용 (스레드 92%), 평균 온도 51.4도, 최대 온도 59도

(처음 4시간이 넘는 테스트를 하면서 최대 cpu 사용률이 과도하게 높게 잡혔습니다. 이것은 무시해도 될듯합니다.)

그래픽카드 - 최대 97% 사용, 평균 온도 55도, 최대 온도 81.8도

[라이젠 5 2600 - QHD]

평균 107 프레임, 최고 166 프레임

cpu - 최대 66% 사용 (스레드 85%), 평균 온도 57.8도, 최대 온도 61도

그래픽카드 - 최대 96% 사용, 평균 온도, 75도, 최대 온도 85.2도

QHD로 게임을 즐기기에는 프레임도 많이 떨어지긴 합니다.

라이젠 5 2600 테스트 결과 CPU 사용량이 92%까지 올라갔고 몇 번 더 해봤을 때 100%까지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온도는 문제가 없었지만 사용량이 문제였죠!! 덕분에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프레임이 떨어지기도 했었죠!!

이제 라이젠 5 5600의 테스트 결과를 보겠습니다.

기대가 됩니다. ㅎㅎ

 

 

라이젠 5 5600 - FHD & QHD

 

[라이젠 5 5600 - FHD]

5600은 CPU와 그래픽카드 모두 성능이 좋기 때문에 FHD에서 국민 옵션이 아닌 풀옵션(울트라)으로 게임을 진행하였습니다.

 

 

[라이젠 5 5600 - FHD]

평균 189프레임, 최고 241프레임

cpu - 최대 57% 사용 (스레드 84%), 평균 온도 67.5도, 최대 온도 75도

그래픽카드 - 최대 99% 사용, 평균 온도 77.8도, 최대 온도 87.8도

5600의 힘일까요? FHD 게임 환경은 아주 날아다니는 기분이었습니다. 덕분에 치킨을... ^^

[라이젠 5 5600 - QHD]

QHD에서 게임은 풀옵션이 아니고 국민 옵션과 거의 비슷한 옵션으로 게임을 진행하였습니다.

(옵션 설정에 약간의 실수가 있어서 국민 옵션이 아닌 점 참고해 주세요!)

 

 

 

 

 

 

[라이젠 5 5600 - QHD]

평균 150 ~ 200프레임, 최고 241프레임

cpu - 최대 56% 사용 (스레드 98%), 평균 온도 66.9도, 최대 온도 73도

그래픽카드 - 최대 99% 사용, 평균 75.5도, 최대 온도 88.2도

라이젠 5 5600 테스트 결과 CPU 사용량은 56%까지 올라갔습니다.

온도는 73도까지 올라갔었지만 평균 66도였습니다.

그래픽카드 사용량은 스레드 사용량이 최대 98%까지 사용했지만 평균은 역시 61%로 문제없었습니다.

배틀그라운드 test
2600
5600
FPS
프레임
FHD
평균
114(국민옵)
189(풀옵)
최고
199(국민옵)
241(풀옵)
QHD
평균
107
175
최고
166
241
CPU
사용량
FHD
최대
89%
57%
스레드
92%
84%
QHD
최대
66%
56%
스레드
85%
98%
CPU
온도
FHD
평균
51
67
최대
59
75
QHD
평균
58
67
최대
61
73
3060 ti
온도
FHD
평균
55
78
최대
82
88
QHD
평균
75
75
최대
85
88

CPU 교체 후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해서 프레임 상승률이 2600과는 비교도 되지 않습니다.

역시 실제 체감은 무조건 바꿔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

 

 

결론

 

AMD Ryzen 5 4세대 5600 (버미어)

초정밀 7nm 공정, 6코어 12 쓰레드 덕분에 높은 싱글과 멀티 성능을 자랑!

pc-builds의 벤치마크 결과로 2세대 라이젠 5 2600을 계속 사용하려고 했었지만 지인들의 권유로 가성비 갑이라는 4세대 라이젠 5 5600 버미어로 바꾸고 나니 체감상 엄청난 프레임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3060ti 그래픽카드는 동일한 상황인데 cpu 업그레이드 만으로 배틀그라운드 게임 FPS 프레임 변화는 엄청났습니다.

가성비 최고의 CPU로 라이젠 5 5600 버미어로 무조건 바꿔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

 

 

[구매링크]

AMD 라이 젠 5-4세대 5600 (버미어) (멀티팩(정품))

AMD(소켓 AM4) / 4세대(Zen3) / 7nm / 6코어 / 12스레드 / 기본 클럭: 3.5GHz / 최대 클럭: 4.4GHz / L3 캐시: 32MB / TDP: 65W / PCIe4.0 / 메모리 규격: DDR4 / 3200MHz / 내장 그래픽: 미탑재 / 기술 지원: StoreMI , Ryzen Master, VR Ready 프리미엄 / 쿨러: Wraith Stealth 포함 / 출시가: 199달러(VAT 별도)

 

 

 

https://link.coupang.com/a/vbIxZ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CPU추천 #게임CPU #추천 #CPU #AMD #버미어 #라이젠 #5600 #라이젠5600 #가성비CPU #AM4

728x90
반응형

댓글